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오늘의 블로그

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온/오프라인 신청 방법, 조건 확인 본문

정책

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온/오프라인 신청 방법, 조건 확인

투블블리 2025. 5. 14. 14:27
반응형

 

 

 

청년내일저축계좌 2025: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필수 가이드

청년내일저축계좌란?

청년내일저축계좌는 대한민국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자산 형성 지원 프로그램으로, 근로 청년들이 저축을 통해 경제적 자립 기반을 마련하도록 돕는 정책입니다. 특히 저소득 청년(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)을 대상으로 정부 매칭 지원금을 제공해 목돈 마련을 지원합니다. 2025년 5월 2일~21일 신규 모집을 통해 약 4만 명이 선발되었습니다. 아래 표와 상세 설명을 통해 프로그램의 핵심을 알아보세요.

  • 정보 확인: 복지로 누리집(www.bokjiro.go.kr), 자산형성포털(hope.welfareinfo.or.kr)
  • X 팔로우: @hellopolicy, @weolbu_official로 최신 소식 확인
  • 문의처: 보건복지부 자산형성지원과 (☎ 129), 지역 행정복지센터
  • 2026년 준비: 근로소득 유지, 소득·재산 증빙 서류 사전 준비

 

지원 대상
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연령, 소득, 가구 조건을 충족해야 가입 가능합니다. 2025년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:

항목 기본 (중위소득 50% 초과~100% 이하) 저소득층 (중위소득 50% 이하, 생계급여/차상위)
연령 만 19세~34세 만 15세~39세
근로·사업소득 월 50만 원 초과~250만 원 이하 월 10만 원 이상
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% 초과~100%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
가구 재산 2억 원 이하 2억 원 이하

2025년 기준 중위소득 참고:
- 1인 가구: 100% 약 239만 원, 50% 약 119.5만 원
- 2인 가구: 100% 약 398만 원, 50% 약 199만 원
특이사항: 2025년 근로소득 기준 완화로 더 많은 청년이 신청 가능. 생계급여 수급자, 차상위 계층은 연령 및 소득 기준이 유연.

지원 내용 및 혜택

청년내일저축계좌는 가구 소득에 따라 저축액과 지원금이 다르며, 3년 만기 시 상당한 목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구분 기본 (중위소득 50% 초과~100% 이하) 저소득층 (중위소득 50% 이하)
본인 저축액 월 10만~50만 원 (자율 선택) 월 10만 원
정부 지원금 월 10만 원 (1:1 매칭) - 근로소득장려금: 월 30만 원 (1:3 매칭)
- 공제금: 월 10만 원 (생계급여 수급자, 소득 10만 원 초과 시)
만기 수령액 (3년, 이자 제외) - 월 10만 원 저축: 720만 원
- 월 50만 원 저축: 1,800만 원
- 기본: 1,440만 원
- 생계급여 수급자: 1,800만 원
추가 조건 - 3년 근로 유지
- 자산 형성 교육 이수
- 자활 목적 사용
- 3년 근로 유지
- 자산 형성 교육 이수
- 자활 목적 사용

자활 목적: 주거 (임대료, 주택 구입), 교육 (학원비, 자격증), 취·창업 (구직 활동, 창업 자금)
만기 수령 예시:
- 기본: 월 10만 원 저축 → 720만 원 (본인 360만 원 + 정부 360만 원)
- 저소득층: 월 10만 원 저축 → 1,440만 원 (본인 360만 원 + 장려금 1,080만 원)
- 생계급여 수급자: 월 10만 원 저축 → 1,800만 원 (본인 360만 원 + 장려금 1,080만 원 + 공제금 360만 원)

신청 방법 (상세)
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가능하며, 2025년 신규 모집은 이미 종료되었으나 2026년 모집을 준비하는 청년들을 위해 절차를 상세히 설명합니다.

1. 신청 기간

  • 2025년 모집: 5월 2일~5월 21일 (종료)
  • 2026년 예상: 5월 초~중순 (정확한 일정은 복지로 누리집 확인)
  • 모집 규모: 약 4만 명 (2025년 기준)

2. 신청 절차

(1) 자격 확인

  • 소득·재산 확인: 근로·사업소득 증빙(급여 명세서, 소득금액증명원)과 가구 소득인정액(건강보험료 납부액 등)을 준비.
  • 가구원 동의: 가구원의 소득·재산 조사 동의서 필요 (가족관계증명서로 확인).
  • 문의처: 지역 행정복지센터 또는 보건복지부 콜센터 (☎ 129).

(2) 신청 접수

 

  • 온라인 신청:
    1. 복지로 누리집 (www.bokjiro.go.kr) 접속.
    2. 로그인 (공동인증서, 간편인증 필요).
    3. “청년내일저축계좌” 메뉴 선택 후 신청서 작성.
    4. 소득·재산 증빙 서류 업로드 (PDF 또는 이미지 형식).
    5. 가구원 동의서 제출 (전자 서명 가능).
    팁: 2025년부터 복지로 앱을 통한 모바일 신청 가능. 앱 다운로드 후 “자산형성지원” 탭에서 신청.
  • 오프라인 신청:
    1. 주민등록지 기준 행정복지센터 방문.
    2.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.
    3. 담당 공무원이 자격 확인 후 접수 완료.
    유의사항: 방문 전 전화로 서류 목록 확인 (센터마다 요구 서류 상이 가능).

(3) 필요 서류

  • 필수: 신청서,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, 근로·사업소득 증빙(급여 명세서, 소득금액증명원, 사업자등록증 등), 가구 소득·재산 증빙(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, 재산세 납부 내역 등).
  • 추가 (상황별): 생계급여 수급 증명서, 차상위 계층 확인서, 가구원 동의서.

(4) 심사 및 결과 통보

  • 심사 기간: 신청 마감 후 약 4~6주 (2025년 기준 6월 말 결과 발표).
  • 결과 확인: 복지로 누리집 또는 문자 알림.
  • 승인 후: 지정 은행(KEB하나은행, 신한은행 등)에서 전용 계좌 개설.

(5) 계좌 개설 및 저축 시작

  • 계좌 개설: 승인자는 은행 방문 또는 모바일 뱅킹으로 계좌 개설.
  • 저축 설정: 매월 10만~50만 원(저소득층은 10만 원) 자동 이체 설정.
  • 첫 저축: 2025년 모집자는 7월부터 저축 시작.

3. 신청 팁

  • 사전 준비: 소득·재산 증빙 서류를 미리 준비해 마감 직전 혼잡 피하기.
  • 온라인 우선: 복지로 앱은 24시간 신청 가능, 서류 업로드 편리.
  • 문의 필수: 서류 누락 시 심사 탈락 가능성 있으므로, 행정복지센터에 전화 확인.
  • X 반응: “복지로 앱으로 30분 만에 신청 완료!” “서류 준비가 중요, 급여 명세서 꼭 챙겨야”
항목 내용
중도 해지 본인 저축액+이자 반환, 지원금 미지급. 근로 중단, 소득 초과, 교육 미이수 시 해지.
만기 자금 사용 주거, 교육, 취·창업 등 자활 목적 증빙 필수 (예: 임대차계약서, 학원비 영수증).
소득 관리 소득 초과(월 250만 원 초과) 시 지원 중단. 정기 소득 점검 필수.
교육 이수 자산 형성 교육(온라인/오프라인) 미이수 시 지원 중단.


- “월 10만 원으로 1,440만 원, 알바생에겐 최고 정책!” (긍정적)
- “무직자는 신청 불가, 아르바이트라도 해야 함” (아쉬움)

왜 가입해야 할까?
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의 재정 안정과 자립을 돕는 강력한 지원책입니다. 정부의 1:1 또는 1:3 매칭으로 저축 효과를 극대화하며, 3년 후 주거·교육·창업 자금으로 활용 가능합니다. X에서 “월 10만 원 저축으로 미래 설계, 놓칠 수 없다”는 반응이 주를 이루며, 특히 알바 청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습니다.

반응형

'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, 신청 및 서류  (0) 2025.05.08